자격증 시대

병원동행매니저 – 자격증, 취업처, 수입, 장단점

리듬의 발견 2025. 5. 7. 01:41
반응형

1. 자격증 개요 및 현황

  • 정식 명칭: 병원동행매니저 민간자격증
  • 주관 기관: 대한병원동행매니저협회, 한국직업능력진흥원에 등록
  • 자격증 번호: 제2020-004431호 (예시)
  • 자격 종류: 등록 민간자격 (국가공인 X)

수요 증가 배경

  • 고령화로 인한 병원 이용 증가
  • 1인 가구/독거노인 증가
  • 가족의 병원 동행 부담 경감 필요
  • 간병과는 다른 개념으로 심리적, 실무적 동행 서비스 중심

2. 시험 및 취득 방법

✅ 수강 및 시험 절차

  1. 교육기관 등록: 온라인 과정 또는 위탁교육기관
  2. 이론 수강: 약 20~30시간 이수
  3. 시험 응시: 객관식 또는 서술형 평가
  4. 자격증 발급: 협회 발급 또는 교육기관 연계 발급

✅ 주요 교육 내용

과목주요 내용
병원 프로세스 이해 접수, 수납, 검사, 진료 흐름
응급상황 대응 기본 응급처치, 상황 대처법
노인심리 및 의사소통 어르신과의 대화법, 공감 기술
직업윤리 프라이버시 보호, 민감상황 대처
 

 


3. 취업 및 활동 분야

분야설명
1:1 병원 동행 서비스 개인고객의 진료, 검사, 입·퇴원 동행
복지관/요양원 연계 노인 대상 지원 서비스로 활동
재가 서비스 요양보호사 또는 간병사와 협업 가능
민간 기업 헬스케어 서비스 연계 플랫폼 등
프리랜서/1인 창업 직접 서비스 상품 구성 및 광고 운영
 

최근엔 병원동행 서비스 플랫폼도 활성화되는 중
예: “동행케어”, “나와동행” 등 중개 플랫폼


4. 수입 실태

활동 형태평균 수입
프리랜서 1회 동행 건당 3만원
정기 고객 확보 월 80만~200만 원 수준 가능
기관 소속 활동 시급 10,000원~15,000원 수준
1인 창업 시 월 수익 200~300만 원 가능 (마케팅 필요)
 

❗ 정규직보단 탄력 근무형 부업 또는 프리랜서 형태에 적합
❗ 수입은 고객 확보 능력에 따라 차이 큼


5. 실제 업무 장단점

👍 장점

  • 정년 없음, 은퇴 후에도 활동 가능
  • 고령자 대상 서비스 경험이 많은 경우 강점
  • 간병보다 부담이 적고, 심리적 동행 중심
  • 수익형 부업으로 유연하게 시작 가능

👎 단점

  • 아직 제도적 보호가 약한 민간 영역
  • 고객 확보/마케팅 능력이 중요
  • 응급상황 시 책임 소재에 대한 고민 필요
  • 이동·대기 시간이 길 수 있음

6. 추천 대상자

  • 은퇴 후 사회활동 원하시는 분
  • 요양보호사, 간병사 등 보건복지 경력자
  • 상담사/심리학 기반 교육 이수자
  • 자녀 돌봄 이후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
  • 지역 복지 네트워크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

💬 자주 묻는 질문 Q&A

Q1. 국가공인 자격인가요?
👉 아니요. 민간자격증입니다. 단, 수요 증가로 공공기관 연계 가능성 있음

Q2. 의료행위도 가능한가요?
👉 아니요. 단순 보조 및 심리적 동행 중심입니다. 의료행위는 금지

Q3. 노인복지 자격과 중복으로 활용 가능할까요?
👉 네. 요양보호사, 사회복지사와 병행 시 유리

반응형